속담: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정의
- 서로에게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고 무심하게 바라보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 농장에서 소와 닭이 서로를 신경 쓰지 않고 각자 할 일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처럼 사람 사이에서도 무관심하거나, 서로를 모르는 척할 때 이 속담을 사용합니다.
핵심 요약
- 뜻: 서로 무관심하거나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관계를 비유.
- 비유적 의미: 상대방에 대한 관심이나 애정이 없는 태도를 지적.
예문
- "둘이 싸운 뒤로는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하더라."
- 싸움 후 서로를 외면하며 무관심한 모습을 묘사.
- "회의 내내 팀원들이 내 의견을 닭 소 보듯 하더라."
- 의견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황 설명.
- "옆집 아저씨랑 매일 마주치지만, 우린 늘 소 닭 보듯 지나쳐요."
- 이웃 간의 무관심한 관계를 표현.
속담 이야기
- 이 속담은 단순히 무관심을 넘어, 인간관계에서의 소통 부족과 거리감을 꼬집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싸움 후 냉랭해진 관계나, 처음부터 관심이 없었던 사이에서 자주 등장하죠. 하지만 실제로 소와 닭은 공생 관계로도 볼 수 있다는 흥미로운 해석도 있습니다!
[🔍 비슷한 속담 계속 보기]
속담 모음 | 불가능, 헛수고
불가능·헛수고 속담 모음! 헛된 노력과 실패를 경계하는 옛말 속 교훈을 주제별로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속담: 그림의 떡정의"그림의 떡"은 보기에는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질 수 없
l.soomum.com
'언어 백과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 비는 데는 무쇠도 녹는다 (0) | 2025.02.18 |
---|---|
속담: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0) | 2025.02.17 |
속담: 말로는 못할 말이 없다 (0) | 2025.02.17 |
속담: 모난 돌이 정 맞는다 (0) | 2025.02.16 |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판 난다 (0) | 2025.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