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금강산도 식후경
정의
- '금강산도 식후경'은 아무리 흥미롭고 즐거운 일이라도 배가 고프면 제대로 즐길 수 없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 여기서 금강산은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 중 하나로, 그 경치조차 배부른 후에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는 비유적 표현입니다.
요약
- 뜻: 기본적인 욕구(특히 식사)가 충족되어야 다른 일을 제대로 할 수 있다는 의미.
- 비유적 의미: 생리적 필요가 우선이며, 이를 해결해야 즐거움이나 집중이 가능하다는 교훈.
예문
- "배가 고파서 아무것도 못 하겠어. 금강산도 식후경이라잖아!"
- 배고픔이 모든 일에 우선임을 강조.
- "우리 여행 가기 전에 밥부터 먹자. 금강산도 식후경이니까."
- 여행 전 식사를 제안하는 상황.
- "중요한 회의 전에 점심부터 먹고 시작하자. 금강산도 식후경이야."
- 업무 효율을 위한 식사의 중요성을 표현.
'언어 백과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0) | 2025.02.13 |
---|---|
속담: 망건 쓰자 파장 (0) | 2025.02.13 |
속담: 고생 끝에 낙이 온다 (0) | 2025.02.12 |
속담: 급하면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 (0) | 2025.02.12 |
속담: 구운 게도 다리를 떼고 먹어라 (0) | 2025.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