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속담: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

말탐꾼 2025. 4. 2.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

 

누군가와 갈등이 생겼을 때, 한 사람만의 잘못이라고 생각해본 적 있나요?


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 바로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입니다.

 

무슨 뜻이야?

어떤 일이 생기려면 둘 다 원인이나 책임이 있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

손 하나만으로는 아무리 휘둘러도 소리가 나지 않지만, 두 손이 마주쳐야 “짝!” 소리가 나요.

 

즉, 갈등이나 싸움 같은 일이 생길 때는 한쪽만 잘못한 게 아니라, 양쪽 모두에게 이유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언제 쓰는 말일까?

친구와 다투었을 때, 한 사람만 탓하기보다는 서로 잘못이 있었을 때 자주 써요.

 

또는 어떤 일이 잘 되거나 잘못되었을 때, 둘 다 협력하거나 잘못했기 때문이라는 걸 말할 때도 사용해요.

 

그럴 때 이렇게 말하죠.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나지~”

 

예를 들어 볼게요:

 

1. 민우와 태영이는 서로 말다툼을 하다 싸웠어요. 선생님이 양쪽 얘기를 다 들어보셨어요.

“둘 다 먼저 사과해보자.”
“그래…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는 말도 있잖아.”

 

2. 수연이랑 친구는 같은 조였는데, 발표 준비를 제대로 안 해서 둘 다 혼났어요.

“난 걔가 하겠지 싶었는데…”
“서로 믿기만 하고 협력 안 한 거지.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니까~”

 

 

한 편의 짧은 이야기

 

서현이와 지안이는 서로 오해가 쌓여 말도 안 하게 됐어요.

 

처음엔 각자 상대방이 나쁘다고만 생각했지만, 대화를 하며 서로의 실수를 인정했어요.

 

선생님은 조용히 말하셨어요.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나는 법이란다. 서로 조금씩 양보해보자.”

 

마무리 한 마디

갈등이 생겼을 땐 누구 탓만 하기보다, 나도 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해요.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는 말처럼, 서로가 함께해야 일이 생기고, 함께해야 풀려요.

 

'언어 백과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 도토리 키 재기  (0) 2025.04.02
속담: 동네북  (0) 2025.04.02
속담: 땅 짚고 헤엄치기  (0) 2025.04.02
속담: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0) 2025.04.02
속담: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0) 2025.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