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2 속담: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작은 잘못도 그냥 넘기다 보면, 나중엔 더 큰 잘못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죠.바로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작은 나쁜 짓도 그냥 두면 나중엔 더 큰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처음엔 바늘 하나 훔칠 정도로 사소한 잘못이었어요.하지만 그걸 고치지 않고 계속 넘기면, 나중엔 소 한 마리까지 훔치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말이에요.즉, 나쁜 행동은 작을 때 바로잡아야 한다는 경고죠. 언제 쓰는 말일까?아이들이나 학생들이 사소한 잘못을 했을 때 이 속담을 자주 써요.처음엔 장난이나 실수처럼 보여도, 반복되면 습관이 되고 결국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니까요.그럴 때 이렇게 말하죠."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되는 거야, 지금부터 고쳐야 해."..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소곤소곤, 아무도 못 들을 거라 생각했는데…?"조심하라고 알려주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아무리 아무도 모르게 말해도, 결국은 누군가가 듣고 퍼질 수 있으니 말을 조심하라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낮에 한 말은 새가 듣고, 밤에 한 말은 쥐가 듣는다.”말이란 건 언제 어디서든 새어나갈 수 있다는 의미죠.비밀이라고 생각해도 누군가는 듣고 있을지 몰라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주로 누군가 험담을 하거나 비밀 이야기를 할 때, 조심하라는 뜻으로 사용돼요. 특히 요즘처럼 소문이 빨리 퍼지는 세상에선 더 와닿는 말이죠.친구가 다른 친구 흉을 봤을 때→ "야야,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잖아. 조심해."회의 중 몰래 다른 팀 이야기할 ..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