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속담10

속담: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힘들고 안 풀리는 날이 계속될 것 같다가도,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오기도 하죠.그럴 때 떠오르는 말이 있어요.바로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아무리 어렵고 힘든 상황이어도 언젠가는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햇빛도 잘 안 드는 조그만 쥐구멍조차도 언젠가는 볕이 드는 날이 있다는 말이에요.지금은 운이 없고 상황이 나쁘더라도, 계속 그렇게만 살진 않는다는 희망을 담고 있어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계속 안 좋은 일만 겪던 사람이 오랜만에 좋은 소식을 들었을 때 쓰기 딱 좋아요.운도 없고 매일 우울하던 친구가 복권이라도 당첨되거나, 시험에서 처음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을 때!그럴 때 이렇게 말하죠.“야~ 쥐구멍에도 볕 든다더니, 드디어 네 차례네?” 예를.. 언어 백과/속담 2025. 2. 18.
속담: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 정의'소경이 개천 나무란다'는 자신의 잘못이나 부족함은 생각하지 않고, 애꿎은 사람이나 조건만 탓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개천에 빠진 소경이 자신의 실수는 돌아보지 않고 개천만 원망하는 모습을 통해, 책임 회피와 남 탓을 꼬집습니다.요약뜻: 자기 잘못은 생각하지 않고 남이나 환경을 탓함.비유적 의미: 책임 회피와 부당한 원망을 지적.예문"시험 공부를 안 하고 떨어져 놓고는 문제 난이도만 탓하다니,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는 말이 딱 맞네."자신의 노력 부족을 돌아보지 않는 태도를 비판."그 친구는 늘 실패하면 주변 사람들만 원망해. 진짜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더니 그대로야."실패의 원인을 남에게 돌리는 행동을 묘사."프로젝트가 실패했는데 본인 실수는 인정하지 않고 팀원들만 탓하더라. 소경이 개.. 언어 백과/속담 2025. 2. 15.
속담: 벼룩도 낯짝이 있다 정의'벼룩도 낯짝이 있다'는 아주 작은 벼룩조차도 체면(낯짝)이 있는데, 사람이 염치 없이 뻔뻔하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속담입니다.이는 부끄러움이나 체면을 모르는 사람을 비판하거나 나무랄 때 사용됩니다.요약뜻: 아무리 작은 존재도 체면이 있는데, 사람이 염치 없이 행동해서는 안 된다는 뜻.비유적 의미: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을 비난하는 표현.예문"그렇게 큰 잘못을 저질러놓고도 사과 한마디 없는 걸 보니, 정말 벼룩도 낯짝이 있다더니 딱 그 꼴이네."뻔뻔한 태도를 비난하는 상황."돈 빌려가 놓고 갚지도 않으면서 또 빌려달라니, 벼룩도 낯짝이 있다!"염치 없는 행동을 지적하는 경우."시험에서 컨닝하다 걸리고도 선생님께 당당히 항의하다니, 벼룩도 낯짝이 있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 언어 백과/속담 2025. 2. 15.
속담: 다람쥐 쳇바퀴 돌듯 정의'다람쥐 쳇바퀴 돌듯'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동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진전이나 발전이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다람쥐가 쳇바퀴 안에서 열심히 달려도 제자리걸음만 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요약뜻: 반복적인 행동에도 불구하고 발전이 없는 상태를 의미.비유적 의미: 단조롭고 지루한 일상, 혹은 헛된 노력을 나타냄.예문"매일 똑같은 업무를 하니 다람쥐 쳇바퀴 돌듯한 기분이야."지루하고 반복적인 일상을 묘사."그 프로젝트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 계속 제자리야."진전이 없는 상황을 표현."시험 공부는 열심히 했지만 성적은 그대로라 다람쥐 쳇바퀴 돌듯 느껴져."노력에 비해 결과가 없는 경우를 비유.재미난 사실이 속담은 영어 표현 "running in circles" 또는 *"spinning one.. 언어 백과/속담 2025. 2. 14.
속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정의'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마음에 드는 것은 받아들이고, 불리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으면 거부하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이는 인간의 이기적이고 변덕스러운 행동을 꼬집는 말로, 사자성어 *감탄고토(甘呑苦吐)*와 같은 뜻을 가집니다.요약뜻: 자신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며, 유리하면 받아들이고 불리하면 거부함.비유적 의미: 이기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태도를 지적.예문"그 친구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성격이라 믿음이 안 간다."이기적인 태도로 신뢰를 잃는 사람을 묘사."정치인들이 선거철에는 공약을 남발하다가 당선 후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모습을 보인다."책임감 없는 정치인의 행태를 비판."회사에서 중요한 프로젝트를 맡기니, 동료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듯 나 몰라라 한다.. 언어 백과/속담 2025. 2. 14.
속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정의'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은 가까운 사람이 잘되는 것을 진심으로 축하하지 못하고, 오히려 시기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이는 인간의 본능적인 질투심을 꼬집는 속담으로, 특히 가까운 관계일수록 비교와 경쟁심이 더 강하게 작용하는 심리를 나타냅니다.요약뜻: 가까운 사람이 성공하거나 잘되는 것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표현.비유적 의미: 인간의 질투와 비교심리를 꼬집는 표현.예문"친구가 대기업에 취직했다는 소식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떠오르더라."친구의 성공을 부러워하는 상황 묘사."명절에 사촌 자랑만 늘어놓는 삼촌 때문에 정말 배가 아팠다니까."가족 간 비교로 인한 질투심 표현."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더니, 이웃 가게 매출이 늘었다고 하니 괜히.. 언어 백과/속담 2025. 2. 14.
속담: 아닌 밤중에 홍두깨 정의'아닌 밤중에 홍두깨'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엉뚱한 일이 벌어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홍두깨는 옛날 빨래를 다듬는 데 쓰이던 둥글고 긴 나무 도구로, 이 속담에서는 뜬금없고 당황스러운 상황을 상징합니다.요약뜻: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엉뚱한 일이 벌어짐.비유적 의미: 뜬금없고 생뚱맞은 행동이나 말을 하는 경우를 표현.예문"회의 중에 상사가 갑자기 노래를 부르자 모두가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며 웃었다."예고 없이 엉뚱한 행동을 한 상황을 묘사."친구가 뜬금없이 결혼 발표를 해서,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은 소식에 놀랐다."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소식을 들은 경우를 표현."시험 전날 갑자기 여행을 가자는 친구의 제안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았다."부적절하고 갑작스러운.. 언어 백과/속담 2025. 2. 14.
속담: 우물에 가 수늉 찾는다 정의'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는 모든 일에는 순서와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무시하고 성급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숭늉을 만들려면 밥을 짓고 누룽지에 물을 부어 끓이는 과정이 필요한데,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다는 것은 이러한 절차를 무시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것을 뜻합니다.   요약뜻: 일의 순서를 무시하고 성급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 비유적 의미: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만을 성급히 기대하는 태도를 지적.  예문"시험공부를 시작도 안 하고 만점 받을 생각부터 하다니, 우물에 가 숭늉 찾는 격이네."준비 없이 결과만 바라는 모습을 지적."아직 계약도 안 했는데 벌써 집들이 준비를 한다고?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더니."순서를 무시하고 서두르는 상황 묘사."요리 재료도 안 사놓고 저녁 .. 언어 백과/속담 2025. 2. 11.
속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정의'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는 성공하거나 지위가 높아진 사람이 과거의 어려웠던 시절을 잊고 교만해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개구리가 자신이 올챙이였던 시절을 잊고 현재의 모습만 자랑스러워하는 태도를 빗댄 말입니다.  요약뜻: 성공 후 과거의 어려움을 잊고 잘난 척하거나 이해심이 부족한 태도를 비판. 비유적 의미: 초심을 잃고 오만해지는 인간의 심리를 꼬집음.  예문"그는 승진하더니 후배들에게 엄청 까다로워졌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더니 딱 그 꼴이야."성공 후 초심을 잃은 사람을 비판."운전 초보였던 걸 잊었나 봐. 초보 운전자에게 막말하는 걸 보니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는 말이 떠오르네."과거를 기억하지 못하고 남을 비판하는 태도를 지적."너도 처음엔 실수.. 언어 백과/속담 2025. 2. 11.
속담: 다 된 죽에 코 빠뜨린다 정의'다 된 죽에 코 빠뜨린다'는 거의 다 이루어진 일을 마지막 순간의 실수로 망쳐버리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정성을 다해 끓인 죽에 콧물이 빠지면 먹을 수 없게 되는 것처럼, 한순간의 방심이나 어이없는 행동으로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요약뜻: 거의 완성된 일을 마지막 실수로 망치는 것을 의미.비유적 의미: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함을 경고하는 표현.  예문"프로젝트를 다 끝냈는데 파일을 날려버리다니, 이건 정말 다 된 죽에 코 빠뜨린 격이야."마지막 실수로 모든 노력을 망친 상황."결혼식 날 신랑이 늦어서 모든 일정이 어긋났어. 딱 다 된 죽에 코 빠뜨린 꼴이지."중요한 순간에 실수로 일이 망가진 사례."시험 답안지를 거의 다 풀고 마지막 문제에서 실수했어.. 언어 백과/속담 2025.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