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표현30 속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가장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 적, 한 번쯤은 겪어보셨나요?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입니다. 무슨 뜻이야?믿고 있던 사람에게 오히려 해를 입거나 배신당한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원래 도끼는 나무를 찍는 데 쓰는 도구죠.그런데 믿고 있던 도끼로 내 발등이 찍혔다는 건, 예상치 못한 상처를 의미해요.즉, 믿었기 때문에 더 큰 충격과 실망을 받았다는 표현이에요. 언제 쓰는 말일까?가장 신뢰했던 사람에게 배신당했을 때 자주 쓰여요.특히 가족, 친구, 동료처럼 가까운 사람일수록 이 속담이 더 아프게 와닿죠.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진짜 믿는 도끼에 발등 찍혔어… 너무 실망이야." 예를 들어 볼게요:같이 팀 프로젝트를 하던 친구가 자기 일만 다 빼놓고 안 해온 상황..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절박한 상황에선 뭐라도 붙잡고 싶어질 때 있죠?그럴 때 딱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입니다. 무슨 뜻이야?매우 급하고 다급한 상황에서는 아무리 미약한 희망이라도 기대게 된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사람이 물에 빠지면 살기 위해 뭐든 붙잡으려 하겠죠?지푸라기처럼 도움이 안 될 것 같은 것도 마지막 희망처럼 붙잡게 되는 거예요.절박한 순간에는 이성보다 본능이 먼저 작용한다는 걸 말해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절박한 상황에서 아주 작은 가능성에도 기대는 행동을 보일 때 써요.현실적으로 도움 되지 않을 걸 알면서도, 마지막 희망처럼 붙잡을 수밖에 없을 때죠.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었어..." 예를 들어 볼게요:시험 전날 ..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꼭 정석대로 가지 않아도, 결국 목표만 이루면 된다고 느낄 때 있죠?그럴 때 딱 어울리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입니다. 무슨 뜻이야?방법이 달라도 결국 목적만 이루면 된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모로 간다’는 건 옆으로 돌아서 간다는 뜻이에요.정면이나 직선이 아닌 다른 길로 가더라도, 결국 서울에 도착만 하면 된다는 의미죠.즉, 과정이 다르더라도 결과가 중요하다는 걸 강조하는 속담이에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전통적인 방법이나 정석대로 하지 않아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때 사용해요.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길을 선택했지만, 결국 같은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도 딱 어울리죠.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되잖아~ 결과가 중요하지!" 예를 들어 볼..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모르는 게 약이다 알고 나서 괜히 마음이 불편하거나 상처받은 적 있나요?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모르는 게 약이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차라리 모르는 편이 마음이 편하고 나을 때도 있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무언가를 알게 되면 괜히 걱정하거나 상처받게 될 수도 있어요.그럴 바엔 차라리 모르고 지나가는 게 낫다는 뜻이죠.‘진실이 항상 좋은 건 아니다’라는 의미도 담고 있어요. 언제 쓰는 말일까?상대가 나에 대해 안 좋게 말했단 걸 알게 됐을 때처럼, 굳이 몰랐어도 되는 걸 알아서 속상한 상황에서 쓰여요.진실을 알았지만 마음만 힘들어진 경우, 이렇게 말하죠."아… 진짜 모르는 게 약이었네." 예를 들어 볼게요:친한 줄 알았던 친구가 뒤에서 내 욕을 했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괜히 들었네… 진짜 모..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말 한마디에 천 냥 빚 갚는다 말 한마디로 상황이 확 달라지는 순간,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거예요.그럴 때 딱 떠오르는 속담이 있죠.바로 "말 한마디에 천 냥 빚 갚는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적절하고 정성스러운 말 한마디가 큰 문제나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천 냥은 옛날 돈 단위로 아주 큰 액수를 말해요.그런 큰 빚도 따뜻한 말 한마디로 갚을 수 있다는 건, 말의 힘이 엄청나다는 뜻이죠.특히 위로나 사과, 감사 같은 말 한마디는 사람 마음을 풀고 상황을 좋게 만들 수 있어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말 한마디로 갈등이 풀리거나, 큰 손해를 막을 수 있을 때 쓰여요.마음에 없는 말로 사람을 상처 줄 수도 있지만, 진심 어린 말은 상황을 바꿀 수도 있죠.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진짜 말 한마디에.. 언어 백과/속담 2025. 3. 24. 더보기 ›› 속담: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이에 있는 건 오히려 잘 못 보고 지나칠 때가 많아요.바로 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죠."등잔 밑이 어둡다"입니다. 무슨 뜻이야?가까이에 있는 것일수록 오히려 잘 보지 못하고 지나치기 쉽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등잔은 불을 밝혀주는 도구인데요, 그 불빛 아래 있는 ‘등잔 밑’은 오히려 어두워요.바로 곁에 있어서 더 잘 알 것 같지만, 의외로 가장 놓치기 쉬운 자리가 바로 그 자리인 거죠.우리가 너무 익숙한 사람이나 상황, 장소일수록 소홀히 보기 쉽다는 걸 말해줘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가까운 사람이나 장소, 상황에서 중요한 걸 놓쳤을 때 자주 써요.먼 데만 바라보다가 바로 눈앞의 중요한 걸 못 보는 경우, 참 많죠.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진짜 등잔 밑이 어둡다더니, 우리가 이걸..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속담: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살면서 분명히 안전해 보여도, 괜히 한 번 더 확인하고 싶은 순간 있죠?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바로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입니다. 무슨 뜻이야?아무리 안전해 보여도 반드시 조심해서 확인한 후에 행동하라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돌로 만든 튼튼한 다리도 그냥 건너는 게 아니라, 두들겨서 확인하고 나서 건너라는 거예요.겉으로 보기엔 문제없어 보여도 혹시 모르니까 신중하게 행동하라는 말이죠.‘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는 교훈도 담겨 있어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특히 중요한 선택을 할 때 많이 써요.너무 성급하게 결정하지 말고, 믿는 일이라도 점검하고 또 확인하라는 뜻이죠.실수는 보통 “괜찮겠지”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니까요. 그럴 때 이렇게 말하죠."야,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속담: 도둑이 제 발 저리다 살면서 누가 뭐라 한 것도 아닌데 괜히 스스로 불안해하거나 찔려 하는 사람 본 적 있죠?그럴 때 떠오르는 말이 있어요.바로 "도둑이 제 발 저리다"입니다. 무슨 뜻이야?죄 지은 사람은 스스로 마음이 불안해서 조용한 말이나 상황에도 스스로 드러낸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도둑질을 한 사람은 아무 일도 없는데도 자기 발이 저린 거예요.누가 잡으러 오지도 않았는데, 이미 마음이 불안해서 들켜버리는 거죠.양심에 찔리면 작은 일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는 걸 말해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누가 딱히 지목한 것도 아닌데 괜히 불안해하거나 반응이 과한 사람을 볼 때 써요.가만히 있다가 스스로 “나 그런 거 안 했어!”라고 먼저 말하면 오히려 더 의심스러울 때 있잖아요.그럴 때 이렇게 말하죠."야… 도..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속담: 다 된 밥에 재 뿌리기 살면서 잘 되어가던 일에 누군가 갑자기 훼방을 놓거나 망쳐버린 경험, 한 번쯤은 있지 않나요?그럴 때 딱 떠오르는 말이 있어요.바로 "다 된 밥에 재 뿌리기"입니다. 무슨 뜻이야?잘 되어가는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거나 망쳐놓는다는 뜻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막 지은 따끈따끈한 밥에 누가 갑자기 재를 뿌리는 거예요.밥은 더 이상 못 먹게 되고, 노력은 물거품이 되죠.그래서 이 속담은 누군가 흐름을 깨거나 망치는 상황에 자주 쓰여요.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좋은 분위기나 흐름을 누가 한순간에 망쳐놓을 때 써요.칭찬 무드였는데 굳이 흠을 잡는다든가, 마무리만 남은 일을 괜히 건드려서 일 키우는 경우 있죠.그럴 때 한마디!"야, 다 된 밥에 재 뿌리지 마~" 예를 들어 볼게요:친구가 고백하려고 분위기 잡..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속담: 누워서 떡 먹기 살면서 너무 쉬운 일을 했을 때, 입에서 툭 튀어나오는 말이 있죠.바로 "누워서 떡 먹기"입니다. 무슨 뜻이야?아주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에요. 직역하면 이래요."누워서 떡을 먹는다"는 건 힘 하나 안 들이고 먹는 거잖아요?그만큼 어렵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다는 뜻이죠. 언제 쓰는 말일까?이 속담은 어떤 일을 너무 손쉽게 끝낼 수 있었을 때 써요.누가 봐도 간단하거나, 본인은 척척 해내서 아무 일도 아닌 것 같을 때요.그런 상황에서 이렇게 말하죠."그거? 누워서 떡 먹기야~" 예를 들어 볼게요:시험 공부를 미리 다 해놨더니 문제 푸는 게 너무 쉬운 거예요!→ "이번 시험은 진짜 누워서 떡 먹기였어."요리 경연대회에서 혼자만 10분 만에 완성!→ "그 요리? 나한텐 누워서 떡 먹기지~" 한.. 언어 백과/속담 2025. 3. 23. 더보기 ›› 이전 1 2 다음